F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효과성 측정지표 개발 사례 연구 - 1. 서론
본문 바로가기
International and Domestic Issues/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효과성 측정지표 개발 사례 연구 - 1. 서론

by ruahryu 2021. 1. 9.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효과성 측정지표 개발 사례 연구

-월드비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지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 교육의 중요성

세계화 시대의 교육은 인지적 지식 및 능력을 보완해 주는 불가결한 요소로, 가치관과 태도 및 의사소통 기술의 중요성을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평화, 인권, 평등, 다양성 수용 및 지속가능발전 등 전 지구적인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 교육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2014,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이런 맥락에서 세계시민교육은 전 세계를 둘러싼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해결할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지식, 가치와 태도, 기법, 사회적 행동 함양을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윤인진, 2008). 국제사회에서도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여 2012년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이 글로벌 교육 우선 계획(Global Education First Initiative, 이하 GEFI) 선언하며 세계시민교육을 가장 중요한 의제 중 하나로 강조하였으며(UN, 2012), 2015년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에 세계시민교육을 포함하여 2030년까지 전 세계가 노력하여 달성해야 할 글로벌교육 목표이자 개발 목표로 설정하였다. 

 

SDGs를 지정하고 국제개발협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지구촌

 

세계시민교육 수행 현황

이에 미국은 유네스코의 국제 이해교육을 시초로 하여 세계 각국에 대한 지식 및 국가 간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교육이 강조하였고, 영국은 2004년 교육 및 아동복지 국제화 전략을 수립하여 세계시민으로서 영국 국민의 자아확립을 추구한바 있으며(김옥순, 신인순, 2013), 국내에서도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월드비전, KCOC, 월드투게터, 고앤두 등 시민단체나 비정부기구들에서 세계시민교육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최근 들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2010년 이후 세계시민교육이 국제 및 국가적 차원에서 미래의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할 핵심적 역량으로 그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시민교육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정책 및 구현방안 모색 등이 역동적으로 추진되고 있다(조지민, 2016). 

 

 

유네스코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한계

하지만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 강조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에대한 체계적 접근이나 구현은 현장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중요성 인식 부족, 단기성 일회성 프로그램 위주의 학습, 교육효과를 입증할만한 실질적 데이터 기반 연구 부족, 체계적 평가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월드비전, 2015). 특히 국제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성과를 제시해야할 상황이 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과 이를 근거로 한 구체적인 현장 학습과 지도 방안이나 모델이 제시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윤성혜, 강명희, 2017). 세계시민교육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지표는 학습자의 성취에 대한 근거가 되며, 학습자에게 추가 처치 요소를 분별하게 하여 개별화된 교육을 가능하게 하며, 개선된 교육 프로그램 및 산출물 구체화를 위한 중요한 과정이기도 하다(윤성혜, 강명희, 2017). 따라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향점의 역할을 위해 개발하여야하는 도구이다.  

 

 

 

도출하고자 하는 바

이와 같은 필요성을 고려하여 현재 세계시민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고자 개발한 지표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세계적인 합의와 지표들을 살피고 한국의 연구자들이 개발한 측정 가능한 세계시민교육의 정의 및 지표 도출 방안, 지표 도출 배경, 사용 방안, 측정 지표 내용 등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표 활용 방법 도출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글은 2020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가을학기 교육과 국제개발 수업 과제로 제출한 내용을 재가공하여 만든 글입니다. 

 

2. 글에 이어 게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