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성과관리의 정의 각 요소 작성법(기초선 조사 방법, 기초선 조사 대체 방법, 목표 지표 설정, 성과관리표 작성법)
본문 바로가기
International and Domestic Issues/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성과관리의 정의 각 요소 작성법(기초선 조사 방법, 기초선 조사 대체 방법, 목표 지표 설정, 성과관리표 작성법)

by ruahryu 2021. 4. 12.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과관리와 관련한 기초선 조사 방법, 목표 지표 설정, 성과 관리표 작성법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1) 정의

- 성과중심관리(RBM: Results-Based Management) 대상사업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사업의 모든 절차와 산출물이 목표한 결과(성과)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전략입니다. (UNDG 2010)

- 성과관리는 설정한 성과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 체계적으로 사업을 관리하는 것이며, 성과중심모니터링·평가(Results-Based M&E)는 사업의 목표달성을 위해 사업이행에 다른 실적과 변화를 추적하는 관리수단입니다.

 

2) 주요 요소

- 성과목표 (산출물, 성과, 영향)

- 지표

- 기초선(기준치)(baseline)

- 목표치(target)

- 성과관리표

 

3) 절차

성과관리 전체 흐름표

4) 기초선(기준치)

정의

- 기초선은 사업 수행 이전에 현장의 주요상황을 측정한 기준점으로서 사업성과지표의 초기값입니다. 사업 착수 이후 모니터링 및 평가, 성과관리를 하는데 있어 사업의 진척사항과 성과의 달성 정도를 판단하는 근거가 됩니다. (KOICA 2018)

 

기초선 조사 (baseline survey)

- 기초선 조사는 성과지표 별 기초선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활동으로 기초선 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 기준치를 가지고 목표치(target)을 설정하고, 향후 현장의 변화하는 상황을 정기적으로 측정해 기초선(기준치) 대비 진전사항을 점검해야합니다. 이 때 기초선 조사 측정은 PDM이 작성된 이후 현지조사를 통해 기초선 조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KOICA 2018)

 

: 사업성과 목표 : 산출물 - 개보수된 화장실 8

                            지표 - 개보수된 화장실 수

                         기초선 - 2

  

기초선조사 설계

- 기초선조사는 변화분석 및 비교방법의 틀을 활용해 설계할 수 있으며, 사업수행/비수행지역 비교와 사업수행 전후/비교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사업수행/비수행지역 비교는 객관적 효과검증의 필요성이 높은 혁신적, 창의적 사업, 전략적 중요도 높은 사업, 활동과 성가목표간 인과관계에 대한 증거부족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업의 경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사업의 경우 사업수행 전후/비교를 시행한다고 합니다.

 

*기초선조사는 변화분석 및 비교방법의 틀 표있음

 

변화분석 및 비교방법 틀의 비교

  

 * 기초선 조사 실시에 어려움이 있을 시, 대체 기준 설정 방법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현지조사를 통해 기초선 조사를 실시하기 어려워 정확한 기준치를 설정하지 못한다면 다음의 방법을 택해 기초선을 구성해야 합니다.

 

ㅇ지역 정부나 타 개발기관의 2차 자료 활용

- 사업을 수행하기 전의 상황을 담은 지역 정부나 타 개발기관의 2차 자료를 바탕으로 기초선 조사를 실시해 기준치로 사용합니다. 만약 지역에 대한 정보도 없을 시에는 국가수준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지만, 사용하는 정보의 단위가 지역과 멀어질수록 기초선 지표가 부정확해 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자료 예시 : 해당국가 정부의 센서스 및 기타조사, , 다자국제개발기구, NGO등이 발간한 보고서, 매스미디어자료, 대학 및 연구기관연구보고서 등

 

ㅇ 사업 시행기관의 내부자료 활용

- 사업 시행기관의 내부자료를 활용함. 사전 타당성조사, 이전사업보고서 등을 활용하여 기초선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ㅇ 기억의 재구성(Reconstruction of memory)방법

- 기억의 재구성(Reconstruction of memory)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데, 기억의 재구성 방법은 공인된 기관의 정보가 없을 경우 지역사회 관계자와의 인터뷰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시기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하는 것입니다. 행동변화(피임활용, 출생률 등)나 경제상황(소득, 지출, 저축)변화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보의 유효성 개선을 위해 소규모로 조사 시행해 타 조사결과와 비교하고, 조사 내용 관련 그룹을 인터뷰 대상으로 할 수 있습니다. 기억정보 수집 시 선거, 재난, 건축 등 주요 사건과 연계하여 진행합니다.

 

주요 정보원(Key informant) 활용

 

- 사업에 따라 각기 다른 주요 정보원을 대상으로 인터뷰/설문조사 실시해 기초선에 해당하는 정보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정보원은 사업에 따라 이장, 부녀회장, 소상인, 소액대부 수혜자, 장애인, 교사, 소작농, 학생, 유아 양육여성, 간호사 등 관련 대상 안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정보원에 따라 정보가 편중될 수 있으므로 성별, 사회경제적 배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경험과 관점 보유한 정보원 선정이 필요합니다. 또 소득, 사업수혜/비수혜등을 고려해 선정해야 합니다. (KOICA. 2016)

 

4) 목표치

 

- 사업수행을 통해 정해진 기간 안에 도달하고자 하는 성과목표의 수준으로 일반적으로 사업수행 기관이 사업 목표를 고려하여 지표의 구체적인 수치가 포함된 정량적 내용으로 구성합니다. 그러나 준수여부, 존재여부와 같은 목표도 제시 가능합니다. (: 마을발전계획서 존재여부, 재정보고서 작성여부)

- 목표치는 근거에 기반해서 설정해야 하여, 근거는 자체적인 조사에 의한 내용이나 국가나 타 유사한 지역의 사실을 활용해 근거로 목표치를 벤치마킹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목표치 예시 : 국가의 평균 5세미만 어린이 사망률, A군 농민 1인당 평균 쌀 생산량, 직업훈련학교 출신 평균 취업률 등)

 

5) 성과관리표

성과목표, 지표, 기초선, 목표치 등을 기본으로 구성되었으며, 정기적으로 점검해 성과관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 (지구촌나눔운동, 2015)

 

성과관리표 예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