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올해 여름은 더울까? 한국 기상청이 예상하는 올해 한국의 여름 기온은 어떠한가?
본문 바로가기
International and Domestic Issues/Domestic Issues

올해 여름은 더울까? 한국 기상청이 예상하는 올해 한국의 여름 기온은 어떠한가?

by ruahryu 2021. 5. 16.

늘 여름은 더웠던 것 같지만 유달리 작년 여름은 더 더웠던 것 같습니다. 언젠가 여름에는 온도가 너무 높아 너도나도 에어컨을 틀면서 전력 공급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던 해가 있었던 것 같은데, 올해는 괜찮을지, 얼마나 더워서 우리를 괴롭게 할지 알아보아야겠습니다. 

 

재미잇는 표라 가져와 봤습니다. 출처 한겨레

1. 세계적인 추세는 일단 올해 4월까지는 비교적 양호함

일단 올해 4월의 세계 평균기온은 역대 아홉 번째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하며 올해 14월까지로 기간을 확대한다면 이 기간의 평균 기온은 역대 8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2013년 이후 가장 선선했던 지구의 4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 따르면, 16 4월 지표와 해수면 등 전 지구 표면 평균기온이 20세기 평균(13.7)보다 0.79도 높아, 관측을 시작한 1880년 이후 142년 동안 아홉번째로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근래 들어서는 2013년 이래 가장 선선한 4월이었다고 합니다. 생각해보면 선선했다기보다는 춥다고 느껴졌던 날이 있을 정도로 날씨가 더웠다가 추웠다가를 반복했던 것 같습니다. 

<유럽은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온도>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 평균기온도 20세기 평균보다 0.77도 높아 역대 8위를 기록했다고 하는데, 캐나다 동부와 남아시아 지역, 아프리카에서는 기온이 평균보다 높았던 반면 캐나다 서부, 미국 중부, 유럽, 중앙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남극 동부, 적도 태평양 동부 등은 평균 이하였다고 합니다. 특히 유럽은 2003년 이래 가장 낮은 기온을 보였다고 해양대기청은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4월은 역대 2위로 더웠던 기간>

이는 지난해 4월과 매우 대조되는 기록이라고 합니다. 20204월의 평균기온은 141년 관측 가운데 2번째로 높았고, 14월 평균도 역대 2위였다고 합니다. 특히 20201월 평균기온이 역대 1위를 기록한 뒤, 2~4월 석달 연속 2번째로 더운 달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2020년 연 평균기온도 역대 2위로 집계되었는데, 4월과 14월 평균기온 역대 1위는 모두 2016년에 기록되었다고 합니다.

 

<올해 4월 추세로 보면 역대급 더위는 없을 듯>

4월까지의 평균기온 추세로 보면, 올해 연 평균기온이 역대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다는 희소식입니다. 지난 겨울 라니냐가 계속된 데다 엘니뇨, 라니냐 감시구역의 수온이 중립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돼 지난해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올해 14월 평균기온 8위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지면 올해를 포함해 2014년 이래 모든 해가 연 평균기온 18위를 기록하게 된다. 이 말은 지구온난화의 진행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2. 세계 말고 우리나라는?

우리나라 4월 평균기온은 13.2도로 1973년 관측 집계 이래 6위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20046월 이후 가장 늦은 한파주의보가 발령되는가 하면 월초와 월말에 평년보다 36도 높은 기온을 보이는 등 변동성이 매우 큰 시기를 보냈다고 합니다. 심지어 5월에 강원도에 눈이 왔었던 게 기억이 납니다.

 

 

<세계 평균과 한국 여름철 더위는 별개 문제일 것>

우리나라 전문가들은 세계 평균기온이 역대급을 벗어나고 있는 추세가 우리나라 여름철 평균기온에 영향을 얼마나 미칠지에 대해서는 아직 미지수라는 반응입니다. 그동안 세계 평균과 적어도 우리나라의 여름철 기온은 같은 경향성을 띠지는 않아왔었기 때문입니다.

 

 

 

<역대의 세계와 우리나라의 기록들>

세계 연 평균기온 13위는 2016, 2020, 2019, 한국의 132016, 1998, 2019년으로 평균 기온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여름철의 기온의 경우 세계 평균 13위는 연 평균과 비슷하게 2016, 2019, 2020년인 반면 한국의 13위는 2013, 2018, 1994년이었다고 합니다. 한국의 여름철 평균기온 1위인 2013년은 연 평균기온으로는 16위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이유는 알 수 없을 것 같습니다.

<폭염과 열대야도 다른 문제>

또한 추가적으로 한여름의 더위를 가늠할 수 있는 요소인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에서는 또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폭염일수 13위는 2018, 1994, 2016, 열대야 일수는 2018, 1994, 2013년으로 여름철 평균기온 순위와 일치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한국 기상청의 예상은?>

기상청은 지난달 233개월(57) 전망에서 6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것으로 예측했고, 7월 기온은 평균보다 높을 확률이 70%인 것으로 발표했습니다. 기상청은 오는 5월 24일 여름철(68월, 3개월) 기온 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7월 기온 확률로 보면 70%의 확률로 높은데, 30%는 아닐 수 있으니, 아니면 30%가 맞았다는 식으로 갈 것이니 기상청의 어려움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기상청은 참 좋은 변명을 확보해놓은 것 같습니다. 

 

결국 결론은 위대한 자연의 현상을 예측할 수 없고 겪기 전인 지금은 아무도 모른다는 것 인것같습니다. 게다가 기상은 어디까지나 통계이기 때문에 아무리 컴퓨터가 발달하더라도 당장의 자연현상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과거의 전철을 그대로 밟아가라는 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