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라오스 산업 환경에 대한 팩트 정리,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KOTRA 자료, World Bank 자료 등 종합 정리
본문 바로가기
International and Domestic Issues/International Issues

라오스 산업 환경에 대한 팩트 정리,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KOTRA 자료, World Bank 자료 등 종합 정리

by ruahryu 2021. 4. 12.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오스 산업 분석에 관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라오스의 세타티랏 왕의 동상

 

 

. 라오스 산업 환경 분석

 

1) 국가 경제 개관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2013-2015에 따르면, 라오스는 세계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주석, , 구리 등의 광물 수출과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 증가에 따른 건설업 성장, 인프라 개선에 따른 관광 사업의 성장에 힘입어 지금까지도 연평균 6.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KOTRA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라오스는 20087.8%, 20097.6%, 20107.9%, 20118.3%, 20127.8%, 20138.1%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2013-2015에 따르면, 라오스 경제구조는 농림업에서 천연자원 분야로 전환하는 추세로, 구리··은 등 천연자원 개발 사업의 성장률은 2003년에서 2010년 사이 연 평균 20.7%를 기록하였으며, GDP 기여도는 19985.9%에서 201016.1%로 약 3배 증가한 반면, 농림업은 2010년 기준 GDP30% 차지하면서 2000년 대비 13% 감소하였습니다.

 

천연자원에 기반을 둔 성장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는 천연자원에 기반을 둔 산업이 전체 GDP38%를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소비제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대형 인프라 건설에 따른 건설자재, 기계장비, 연료 등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2007년 이후 상품 수지 적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라오스는 수출의 약 67%, 수입의 76%를 태국과 중국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또 라오스는 해외 원조에 대한 의존도가 큰 편으로, 이전 러시아를 비롯한 옛 동구 공산권의 원조 대신 최근에는 일본, 한국, 미국, 호주, 스웨덴, 독일, 프랑스 등으로부터의 원조 비중이 큽니다.

 

라오스에 대한 국제사회 원조 규모는 2007년에는 순지출 46천만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1년에는 총지출 기준 약 44천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World Bank에서 발표한 2012Doing Business 지수에 따르면, 라오스는 총 183개국 중 165위를 기록하여 전년(163)에 비해 하락하였으며, 동아시아 태평양 지역 평균(86)과 비교했을 때 매우 열악한 기업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2013-2015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는 200311,000만 달러에서 20108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수력발전과 광물이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라오스는 타 최빈국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성장을 보이며 20121인당 GNI 1,260달러로 World Bank 국가분류의 중저소득국가로 분류등급이 상향되고 있으나 실제 상당수 국민들은 여전히 빈곤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2013-2015에 따르면, 라오스 경제구조는 농림업에서 천연자원 분야로 전환하는 추세로, 구리··은 등 천연자원 개발 사업의 성장률은 2003년에서 2010년 사이 연 평균 20.7%를 기록하였으며, GDP 기여도는 1998 5.9%에서 2010 16.1%로 약 3배 증가한 반면, 농림업은 2010년 기준 GDP 30% 차지하면서 2000년 대비 13% 감소하였습니다.

 

 2014 KOTRA의 조사에 따르면, 라오스의 산업은 농업, 임업 등 1차 산업 비중이 24.8%, 2차 산업 비중이 32%, 3차 산업 비중이 3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변국에 비해 내수 시장이 작고 물류와 유통 및 각종 인프라 자원이 부족하여 기존 동남아 국가들과 같은 형태의 가공수출 무역은 아직 취약한 편입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2012년 라오스 상공부에서 세운 라오스 국가 수출 전략(National Export Strategy, NES for the period of 2011-2015) 수출 촉진을 위한 중점 개발 9개 사업으로 전력(수력발전), 관광, 농산품, 광물, 의류, 실크 및 면화 수공예품, 목제품, 약용 작물, 지역 특산물이 선정되었습니다.

 

 수출 촉진을 위한 정책으로는 수출 제품 품질 관리, 무역 금융, 시장 정보 서비스 제공, 경쟁력 향상, 마케팅, 가공 무역을 위한 수입, 인력 수출 7개 분야를 선정하였습니다.

 

 1차 산업의 비중은 감소, 3차 산업은 그 비중을 유지하는 추세이며, 2차 산업인 수력 발전과 광산 개발로 GDP 비중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라오스 왕궁 박물관 모습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