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대표적인 환경보호를 위한 국제 비정부기구(NGO) 그린피스의 조직 배경, 활동 사례
본문 바로가기
International and Domestic Issues/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대표적인 환경보호를 위한 국제 비정부기구(NGO) 그린피스의 조직 배경, 활동 사례

by ruahryu 2021. 5. 10.

그린피스(Greenpeace)는 생태적 감수성의 제고통해 환경 정의를 달성하고자 하는 초국가적 NGO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린피스의 시작, 조직 구성과 활동영역, 성공사례와 한계 등을 다루며 그린피스에 대해 이해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려 합니다.

 

1. 그린피스의 시작

  • 그린피스는 반핵실험 해상시위 운동인 “Don’t Make a Wave!"에서 시작된 조직입니다. 최초에는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일부 환경, 평화 운동가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습니다.
  • 1971년 해일을 만들지 마 위원회(DMWC)를 조직하여 반핵 해상시위를 전개하며 핵 지상주의 반대, 동식물 멸종, 대기, 수질, 토양오염, 해양자원 위기에 대해 강하게 주장을 하며 조직된 그리피스는 1972년부터는 해양 포유류 보호운동 주력하는 단체로 활동하게 됩니다. 

그린피스의 조직도

2. 그린피스의 조직 및 역할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국제본부를 두고 있으며, 지부는 5개 지역에 27개국 지부를 두고 있습니다. 
  • 총위원회는 각지부대표로 구성되어 전체 운영 가이드 제정, 프로젝트에 대한 예산 승인과 장기 운동 목표 개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집행이사회는 일상적 정책을 결정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국제캠페인과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조정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역 이사회 전반적 운영에 관한 최종 승인 및 실행 조직입니다.
  • 약 175명의 활동가, 선원들이 스텝으로 참여하고 있고, 전업 활동가가 약 1천 명, 회원 수는 전 세계 290만 명에 이른다고 합니다. 선박 8척, 헬기 1대, 열기구 1개를 가지고 해양 문제를 조사하고 있다고 합니다. 
  • 그린피스의 역할은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활동가 중심의 시위대를  통한 대중적 지원 이끌어내는 것, 객관적인 자료조사 실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제도권 내에서의 협상과 압력 등을 결합한 ‘정보 전달 혹은 상징 정치'의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Greenpeace의 활동 원칙

- 그린피스는 4가지의 활동 원칙을 가지고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먼저 해결책 제시입니다. 그린피스는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과학적 조사 및 열린 토론과 객관적 토론 장을 만드는 것입니다.
  2. 정부나 기업의 재정지원을 받지 않는 재정적 독립성을 가지는 것입니다.
  3. 구촌 곳곳에서 환경을 지키기 위해 그린피스가 가진 자원을 극대화하여 글로벌 영향력를 확대하는 것입니다.
  4. 평화로운 행동이 세상을 바꾼다는 믿음 아래 대중의 동참을 통해 비폭력 행동을 전개하는 것입니다.

4. Greenpeace4개 핵심 캠페인 영역

  1. 유독성 화학물질 제거
  2. 에너지 및 대기문제
  3. 핵 재처리 고정 및 폐기물 처리, 해저 핵무기 및 핵실험 등에 관한 핵 문제
  4. 고래, 바다거북, 돌고래, 어장보호 등 해양 및 육상 생태계 보호

그린피스는 이외에도 기후변화, 원시림 보호, 유전자 변형 반대, 평화 및 군축, 지속 가능한 무역 등 다양한 환경분야에 대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5. 그린피스의 주요 활동 방식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적 자료와 근거를 위한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린피스의 과학적 자료조사를 하는 연구진들은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석학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구의 보호와 문제 해결을 위해 객관적인 검증을 하고 있습니다.
  • 시민의 관심을 끌어내고 동참할 수 있는 캠페인 기획 추진,, 언론, 매체 이용 및 한 발 더 나아가 미디어 부서 설치, 사진, 영상, 다큐멘터리 제작 등 적극적 홍보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한 번씩은 그린피스에 대해 들어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6. 그린피스의 성공사례

  • 그린피스는 1971에서부터 핵 반대 시위, EU 새끼 바다표범 가죽 수입중단(1978), 국제포경위원회 잠재적 포경 중단 결정(1982) 등의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1990부터의 활동을 살펴보면 해양 및 육지 생태계 보호, 39개국 남극협약(1991), 유엔 오존상 친환경 냉장고 협의(1993), 러시아 코트니 산림 세계유산 지정(1995) 등의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2000년대 이르러서는 유전자 변형 작물(GMO) 위험성 제기 및 생물종 다양성 추구, 캐나다 몬트리올 ‘생물 안정 의정서’(Biosafety Protocol) 채택 (2000), 기업의 유해화학물질 사용 반대, 원시림 보호 등에 대한 이슈화를 성공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그린피스의 활동이 성공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은 시민들의 관심, 참여를 불러왔다는 점입니다. 또한 이러한 캠페인 성공요인은 객관적 자료조사와 실험, 적극적인 미디어 활용을 꼽을 수 있습니다. 

7. 그린피스의 한계

그럼에도 몇몇 전문가들은 그린피스의 한계를 지적하는 부분이 있는데, 국제본부에서 기획된 전략을 추구해야 하며, 국가, 지역 간 피드백이 다소 원활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말합니다. 또한 유럽 중심의 활동에 대한 지적이 있습니다.

 

8. 그린피스가 한국에 미친 영향

[일회용 쓰레기 감소 촉구]

한국은 플라스틱(일회용) 쓰레기와 전쟁 중이라는 지적을 하며 필리핀에 불법 수출된 쓰레기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여 다시 한국에 돌아오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이에 2020년 6월 대형마트 5곳을 대상으로 플라스틱 감축 노력 평가결과 발표 및 이를 통한 대형마트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 50% 감축 약속하기도 하였고, 이마트 세제 리필 시스템 도입 등 쓰레기 감소 대책 마련에 나서기도 합니다.

[탈원전 촉구]

그린피스는 2014년 3월 한국의 원자력 발전업계의 책임 회피 실태를 고발하고, 2019. 1 탈원전 경영을 촉구하고, 후쿠시마 오염수 위기 보고서 발행합니다. 2020년 3월 20일에는 두산 중공업의 탈석탄. 탈원전 경영 쇄신 촉구 시위 및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초국가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로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