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일본의 AI 산업 부흥을 이끄는 1년차 스타트업 사카나AI의 성공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International and Domestic Issues/International Issues

일본의 AI 산업 부흥을 이끄는 1년차 스타트업 사카나AI의 성공 이야기

by ruahryu 2024. 8. 18.

최근 AI 스타트업 사카나AI가 공개한 'AI 사이언티스트' 솔루션은 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솔루션은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활용하여 과학 연구의 모든 과정을 AI가 독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아이디어 창출부터 실험 수행, 결과 요약, 논문 작성 및 리뷰까지, 과학 연구의 전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AI가 스스로 더 나은 버전을 개발하는 단계에 이르렀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사카나AI의 빠른 성장 

사카나AI는 지난해 7월 설립된 이후 불과 1년도 지나지 않아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 비상장사)에 올랐습니다. 이 회사의 성공 비결은 뛰어난 인재와 일본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덕분입니다.

 

우수 인력으로 무장한 사카나AI

사카나AI의 경쟁력은 무엇보다도 우수한 인력에 있습니다. 구글의 핵심 AI 연구원 출신인 라이언 존스는 사카나AI의 공동 창업자로 참여했습니다. 그는 AI 혁신의 바탕이 된트랜스포머라는 AI 알고리즘을 처음 제시한 논문어텐션 이즈 올 유 니드(Attention is all you need)’의 저자 중 한 명으로, AI 업계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입니다. 이외에도 구글 출신의 데이비드 하, 로버트 랑케 등이 공동 창업 멤버로 합류했습니다. 일본인 공동 창업자 렌 이토는 일본 중고 거래 플랫폼업체 메루카리의 유럽지사장을 지냈습니다.

 

일본 정부의 AI 산업 지원 정책

일본 정부는 AI 스타트업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창업 규제를 완화하여 사무실, 출자금 등의 조건 없이 사업 계획이 인정되면 2년간 체류할 수 있는 비자를 발급해 주고, ‘특별고도인재비자를 통해 5년짜리 비자를 바로 내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덕분에 일본은 해외 인재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으며, 이는 사카나AI와 같은 AI 스타트업의 빠른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 정부는 AI 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카나AI도 이 프로그램을 통해 엔비디아의 H100 등 고성능 GPU를 확보하여 AI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과의 비교

흥미롭게도, 한국에는 아직 AI 유니콘 기업이 없습니다. 이는 한국이 인재 유출이 많은 국가 중 하나라는 점과 관련이 있습니다. 스탠퍼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HAI)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AI 인재 유출이 세 번째로 많은 국가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일본은 인재 유입과 AI 산업의 성장을 위해 강력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사카나AI의 성공은 한국이 본받아야 할 중요한 사례입니다. 일본의 AI 스타트업 사카나AI는 창업 1년 만에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며, AI 산업에서의 잠재력을 증명했습니다. 이와 같은 성공은 단순히 우수한 인재와 기술력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일본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정책적 뒷받침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한국도 AI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사카나AI와 같은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일본 정부가 해외 인재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창업 초기 스타트업에 필요한 자원을 아낌없이 지원한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같은 중요한 인프라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과 같은 지원은 초기 스타트업들이 기술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한국은 AI 인재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인재 유출이 지속되면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일본이 외국인 창업 규제를 완화하고, ‘특별고도인재비자와 같은 제도를 도입한 것처럼, 한국도 우수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을 강화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한국이 AI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카나AI와 같은 성공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국의 AI 산업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일본의 전략을 벤치마킹하여 한국도 AI 유니콘 기업을 다수 배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입니다.

릴리언 존스(왼쪽)와 데이비드 하 사카나AI 공동 창립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