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일어나게 된 배경과 이유
본문 바로가기
International and Domestic Issues/International Issues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일어나게 된 배경과 이유

by ruahryu 2021. 6. 17.

중국은 수세기 동안 세계의 다른 나라에 비해 문명, 기술에서 매우 많은 부분 앞서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은 대규모 공장에서 정교한 기계와 복잡한 분업을 통해 철기, 직물, 도자기를 대량 생산하기도 하였는데, 14세기 왕정 농서에 이미 축력, 수력으로 돌아가는 방적기가 있다. 또 북송 때 이미 35천 톤의 원광과 42천 톤의 석탄이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18세기 산업혁명기의 영국과 비등한 수준이다.

 

하지만 산업혁명은 청나라에서 시작되지 못했고, 영국에서 시작되어 유럽 여러 나라로 퍼지게 된다. 산업혁명은 영국에서 시작된 전반적인 사회경제적 변화와 기술의 혁신이 일어난 시기로 18세기 후반부터 약 100년에 거쳐 이루어진 것으로 정의한다. 산업혁명은 혁명이라는 용어를 생각해보자면 한 순간에 급박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기술혁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

 

하지만 이 순간적인 기술의 발전이 일어나기 위해서 유럽에서는 르네상스 시기 이후 전반적으로 근대적 발전을 이루기 시작했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제도적으로 산업 혁명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들이 누적되어 왔다. 이러한 조건들이 어느 순간 어떤 임계점을 통과하며 경제, 사회적인 변화가 급속도로 일어나게 되었다고 분석된다. 반대로 청나라는 산업혁명이 일어날 수 있는 정치, 경제, 사회적인 배경이 성립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산업혁명이 시작되지 못했다는 해석할 수 있다.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앞으로의 역사도 과거의 역사를 되풀이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렇기에 앞으로의 발전을 위한 고민을 하기 위해 역사를 짚어본다면 산업혁명에 실패한 중국을 타산지석 삼고, 영국이 산업혁명을 이루며 세계의 중심 국가로 발돋움한 사건을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먼저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일어나게 된 배경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이와 비교하여 청나라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날 수 없었던 이유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1. 상업적 권리를 보장하는 사회제도

 

1.1 상업 발달을 통한 관련 제도 수립

 

유럽은 중세부터 도시 및 농촌이 자체적으로 재판관을 뽑아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졌다. 중세 유럽의 도시 규모는 10만 내외의 인구로 동시대의 중국이나 아랍의 대도시보다도 작았지만, 군사적이나 정치적 목적을 위해 도시의 규모가 거대해진 타 문명과 달리 유럽의 도시는 상업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규모는 작아도 그 수가 매우 많았다. 이런 자치도시들은 상업적 이유로 설립되었다보니 상업적 권리의 충돌에 관한 판결이 매우 중요했으며, 이러한 이유로 공증과 회사, 길드 등 경제적 권익 보호를 위한 제도와 조직이 특히 발전할 수 있었다.

 

1.2 권력층에 대한 견제 제도 확보

 

또한 영국에서의 권력에 대한 견제가 산업 혁명이 일어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꼽힌다. 당시 영국이나 네덜란드 정도를 제외한 유럽에서조차 왕에게 권력이 집중된 절대왕정이었으며, 권력층에 의해 상인들의 재산권이 침해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이런 상황에서는 상업 자본 발전에 핵심적인 신용이 발전할 수 없었다. 하지만 영국은 의회의 견제로 인해 왕이 징세권을 남발할 수 없었고, 네덜란드 공화국에서는 오라녜 공작이 간섭할 수 없는 은행이 설립되기도 했다. 영국 의회는 조세 법정 주의의 뿌리가 되었고, 네덜란드 은행은 네덜란드를 유럽 금융의 중심으로 올리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1.3 명예혁명 이후 사법 체계 안정과 특허제도 도입

 

특히 명예혁명 이후 영국에서는 사법 체계가 확립됨으로써 재산권이 제도적으로 보장되기 시작했는데, 이에 따라 산업재산권인 특허권이 보장되면서 기술 혁신이 더욱 촉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전근대에는 혁신이나 발명이 개인의 성과로 여겨지기 보다는 사회 전체의 노력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혁신과 발명에 대해서 개인의 이윤이 거의 남지 않았다. 따라서 무언가 혁신을 일으킨 개인이 나타났다면 타인보다 앞서기 위해 그 혁신을 비밀로 하는 것이 중요했다. 하지만 영국은 특허 제도를 만들어 발명가들이 자신의 이득을 보전할 수 있다고 여기게 되었고 특허 내용을 국가를 통해 공개하여 많은 기술이 발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2. 산업 생산기술의 혁신

 

2.1 산업혁명 전 17세기의 과학 혁명과 값싼 투자조건

 

산업혁명은 17세기의 과학 혁명에 후행했다. 과학혁명은 이탈리아에서 갈릴레오로부터 시작하여 영국에서 뉴턴으로 끝났다. 17세기의 물리학의 발견들은 증기 기관 발명의 필요조건이었다. 하지만 그 과학의 대부분이 대륙에서 행해졌지만 영국에서 증기기관이 발명이 되었는데, 그 이유는 과학적 지식을 작동하는 기술로 전환시키는 데 들어가는 비용 때문이었다. 영국은 풍부한 석탄 매장량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투자를 진행할 수 있는 여력이 있었으나, 나머지 국가들은 연구개발의 수익성 측면에서 투자가지가 없었던 것이다.

 

2.2 각종 면직물 산업 기술 발명

 

영국은 원래 전통적으로 면직물보다 모직물 공업이 발달하여 양모가 국가의 주요 수출품이었다. 하지만 18세기 들어서 영국에서는 면직물 생산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면직물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면직물 산업은 영국 산업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면직물 생산이 비약적으로 발전 한데는 두 가지 핵심 기술인 실을 뽑아내는 방적기술과 뽑아낸 실로 천이나 원단을 만드는 방직 기술의 혁신을 이루어냈기 때문입니다.

1733년 랭커셔 지방 출신의 존 케이는 반자동식 장치를 방직기에 적용하여 원단 제작과 원단을 짜는 시간을 대폭 축소시켜 실을 빨리 뽑아낼 수 있는 방적기술에 대한 요구가 커지게 되었다. 1765년에는 한 번에 여러 가닥의 실을 뽑아낼 수 있는 방적기, 1769년에는 인력이 아닌 수력으로 작동하는 수력 방적기 등 효율적인 방적기가 개발되었다. 1779년에는 제니방적기와 수력 방적기의 장점을 결합한 뮬 방적기가 개발되면서 결국 여러 가닥의 실을 고속으로 뽑아낼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뮬방적기는 제임스 와트가 개발한 증기기관 기술과 융합되면서 성능이 더욱 향상되었다. 실을 뽑는 방적기술에 혁신에 맞춰 옷감을 짜는 방직 기술 또한 기술의 혁신이 이어졌는데, 1785년 에드먼드 카트라이트는 방직기에 증기기관을 결합한 역 직기를 개발하여 방직기의 생산성을 극대화하였다.

18세기 당시 인도의 면 방적기는 면화 45kg을 면사로 가공하는 데 약 5만 시간의 노동이 필요했지만, 1779년 발명된 뮬방적기는 동일한 면화 45kg을 면사로 가공하는 데 25배의 효율을 보이는 약 2,000시간의 노동이 필요했다고 알려졌다. 게다가 뮬방적기에 증기기관을 결합한 모델은 동일 조건에서 걸리는 시간이 불과 300시간 밖에 되지 않아 160배 이상의 높은 효율을 보였다.

 

 

3. 식민 지배를 원료의 조달과 통한 상품 시장 확보

 

3.1 영국의 식민 통치와 생산 소비

 

증기선의 발명과 원양 향해 기술과 산업화 덕분에 거리라는 커다란 장벽이 허물어졌고 무역에 큰 변화가 왔다. 해외무역은 급증하였고 특히 그 가운데 1760년 수출의 1/3을 차지한 식민지 무역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생산지 주민들이 다 소비하지 못할 만큼 생산량이 늘어났다. 영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산업 혁명이 일어났다면 수요가 공급을 따라 잡지 못해서 제품 가격이 폭락하고 시장이 와해되었을지도 모른다.

영국은 세계 전역에 펼쳐져 있는 방대한 군사적, 상업적 제국을 통치하는 해양 기술의 달인이었다. 이러한 세계 전역의 시장 덕분에 영국은 생산품을 대량으로 대영 제국 내에 있는 지역들에 상품을 팔아 치울 수 있었다. 또한 영국은 제국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행정적 비용을 모두 손쉽게 회수했고, 그러고도 남는 재정으로 해군력을 더욱 증강하고 산업 발전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

 

3.2 불합리한 식민정책과 산업혁명 필요 자본 축적

 

이 과정에서 1757년 영국은 인도 벵골 지역의 경제적 지배권을 차지하기 위해 플라시 지역에서 전투를 벌였다. 벵골 지역은 자원이 풍부한 곳이었으며 면제품의 원료가 되는 원면 생산의 핵심지역이기도 했다. 영국은 플라시전투에서 승리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인도의 무역을 독점하게 된다. 또한 영국은 벵골지역 인도인에게 면화 재배를 강요하였고 이를 통해 인도로부터 값싸게 면화를 수입하여 영국에서 면직물을 생산하였고, 이를 다시 인도로 수출하여 큰 이윤을 남기게 된 것이다. 게다가 영국은 인도산 면직물에 대한 수입 관세는 높이고, 영국산 면직물에 대한 인도의 수입 관세는 낮춤으로써 인도를 면제품 원료의 공급지이자 상품시장으로 전락시키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는 영국의 산업혁명을 위한 자본 축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산업화를 가능하게 하려면 산업 기지를 구축하고 노동자들에게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엄청난 양의 자본이 필요하다. 또한 산업 기지에서 일할 노동력도 상당히 많이 필요했다. 영국은 본토 내에서가 아니라 해외 식민지에서 상품을 팔아 자본을 확보하였고, 기껏해야 중간 정도의 규모였던 제국의 인구에서 나오는 노동력을 식민지의 인구를 통해 극복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