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가 운영하는 월드프렌즈 청년 중기봉사단 활동팀 중 우수 사례 소개입니다.
이번에 소개 드릴 팀은 몽골 울란바타르에 위치한 몽골 국립농업대학교에서 2019.08.17.~2020.01.16 5개월간 활동한 팀입니다.
팀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자면 한경대학교 생명공학과 5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초 생명공학 실험 및 한국어 교육 봉사를 하며, 논문 Journal club, 한국어 말하기 대회, 모의 TOPIK 대회 총 3가지 특별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주요 활동 소개
1) 2, 3, 4학년 자기 주도적 기초생명공학 실험 진행
- 몽골 국립농업대학교 축산학과 2, 3 학년들을 대상으로 실험 방법에 대한 수업을 하고 수업 종료 이후 본인들 스스로 실험을 진행하여 정확한 실험결과를 도출해내는지에 대한 활동이었습니다.
- 구체적인 커리큘럼은 아래와 같은데, 용어가 전문적이라 관련 전공이 아니신 분들은 좀 어려울 수 있겠네요.
09월 : 생명공학 실험 전 기자재 및 안전교육 테스트, 안전교육, 기자재 사용법, Blood DNA Extraction 실습
10월 : 실험 전 준비과정 및 실험 후 정리과정, 정리의 중요성, 시약 보관의 중요성, Blood DNA Gel Electrophoresis, Tissue DNA Extraction, Tissue DNA Gel Electrophoresis, Hair root DNA Extraction.
11월 : 안전교육, Hair root DNA Gel Electrophoresis, 전체적인 DNA Extraction체크, Primer 희석
12월 : DNA Extraction 재확인, PCR machine 사용법 재확인 및 Primer 확인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기법 사용 및 PCR machine 사용, Sheep Primer를 사용하여 Bovine, Sheep등에 PCR 기법을 사용, 결과 분석 Blood DNA, Hair root DNA를 사용한 PCR 기법, 자기 주도적 실험 진행. 생명공학 실험 후 기자재 및 안전교육 테스트, 자기 주도적 실험 결과 및 Feedback 전달
1) 2가지 실험(DNA 추출 및 PCR 실험)을 자기 주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실험 방법 교육 |
팀 성과지표 |
당초 목표 |
성과 |
|
자기 주도적 |
8명중 4명 성공(50%) |
DNA 추출 실험: 16명중 13명 성공(81.12%) |
||
구체적 근거 |
14,15주차 자기 주도적 실험 채점표(별첨1) |
|||
산식 |
DNA 추출 실험 달성률 : 정상적 실험 진행 인원/총 수업 인원 * 100 |

2) 졸업논문 탐색 지원 및 Journal Club 운영
4학년 졸업논문 관련 논문 추천 및 논문 탐색 방법 설명하고 추천논문을 전달하였습니다.
- 09월 : 각 학생별 졸업논문 주제 설정 및 파악
- 10월 : 졸업 논문 관련 논문 전달 및 논문 탐색 방법 설명
- 11월 : 졸업 논문 관련 논문 중 관심 논문 선정, 발표 자료 만들기, Journal Club 소개
2) 졸업논문 |
팀 성과지표 |
당초 목표 |
성과 |
|
졸업논문 관련 |
인당 8개 이상의 논문 전달 |
인당 8개 이상의 논문 전달 |
||
구체적 근거 |
매주 학생들에게 전달 해준 논문 파일(별첨9~74) |
|||
산식 |
전달 받은 논문 수/ 8개의 논문 * 100 |

3) 한국에 대한 관심증대 및 TOPIK 1급 수준 달성
- 팀원들은 학생들의 유학지원을 위해 한국어 교육도 함께 실시하였습니다. 한국어 교육은 당초 목표에 이르지 못했지만 의미있는 시간이었다고 생각됩니다.
- 09월 : 자음, 모음, 1~2음절 단어
- 10월 : 한국 이름 만들기, 숫자 읽기, 일상생활 이야기하기, 물건위치 이야기하기,
물건 개수 세기, 물건 요청하기, 한글날 소개, 한국화폐 소개
- 11월 : 날짜와 요일·시간 묻고 답하기, 계절과 날씨에 대해 이야기하기, 제안·약속하기,
과거·현재·현재진행·미래에 대해 이야기하기, TOPIK 기출문제 풀이
- 12월 : TOPIK 기출문제 풀이
TOPIK 1급 수준의 한국어 능력 배양 교육 |
팀 성과지표 |
당초 목표 |
성과 |
|
TOPIK 1급 수준 달성 |
45% (11명 중 5명) |
18% (11명 중 2명) |
||
구체적 근거 |
모의 한국어능력시험 점수표 (별첨77) |
|||
산식 |
TOPIK 1급 수준 달성 백분율= 80점 이상인 학생 수(2)/참가한 학생 수(11)*100 |

총평
몽골 국립대학교로 파견된 이 봉사단의 활동은 한국이 ODA를 통해 몽골 교육 분야 중 직업기술교육 훈련기관 졸업 후 취업률 증가를 위한 산업체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제도, 정책 및 교육과정, 교육시설 등을 지원하겠다는 국가 차원의 목표에 적극 부합하는 활동이였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몽골 국립농업대학교는 몽골 국가 차원의 핵심 교육 시설이며 이들은 숙련인력 개발지원, 고숙련 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양질의 직업기술교육 훈련 체제 강화 지원 및 선도모델 개발 등 앞으로의 몽골의 미래자원을 키워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들의 몽골 국립농업대학교에서의 활동은 기초 생명공학 실험은 숙련인력 개발지원과 양질의 직업기술교육 훈련 체제를 강화하는 필수적인 활동이였으며, 학과장님 또한 이들의 활동에 매우 높은 만족감을 표하며 앞으로의 더욱 공고한 협력관계를 요청하였습니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단원들에게도 실제 실험 교육을 준비하고 실행하며 본인들 전공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와 활용 방안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다만 아직 몽골 농업대학교 내 실험실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부분이 있어 소방법에 위반되는 사항이 많았는데, 앞으로 현장프로젝트 실시나 지속적인 기초 장비 지원 코이카 일반단원의 관심으로 보완되어 갈 수 있다면 더 효과적인 봉사활동 진행이 가능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덧붙였습니다.
'Volunteer Activities > Overseas volunt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봉사를 위한 교육 계획안(교안) 작성 시 참고사항 정리 (0) | 2021.01.19 |
---|---|
우간다 해외봉사 RUHU(Raising Up Hope for Uganda) 파견팀 활동 내용 소개 (0) | 2021.01.19 |
에티오피아 비쇼프투 관광청, 직업훈련학교 파견 단원 활동(IT 디자인 교육, 한식교육, 화장실 개보수, 실패박람회, 한국어교육 등) (0) | 2021.01.18 |
캄보디아 바탐방 내 초등학교 봉사단원 활동 성과 평가를 위한 전문가 보고서 내용 정리 (OECD 5대 지표를 통한 분석, 성과 정량 분석, FGI 인터뷰 등) (0) | 2021.01.15 |
마다가스카르 디에고 수아레즈 봉사 사례 소개 (0) | 2020.12.31 |
댓글